답글이 늦어 죄송합니다. 말씀하신 병원의 규모나 운영형태를 짐작해보면 단일진료과목 의원보다는 크고 종합병원 보다는 작은 병원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경우 가장 최선의 배치는 안내데스크나 고객센터 전용으로 1대, 진료과목 마다 1대씩 구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용단말기에 해당 진료과목이 표시되기 때문에 장애인 환자가 추후에 즉시 연결할 때 서로 혼선을 없애고 편리하게 음성안내나 수어통역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병원마다 단말기 운용방법에 대해 직원간 내부 교육과 협력이 잘 이루어진다면 건물의 층별로 1대씩 운용할 수도 있습니다. 병원내 와이파이 환경이나 환자 동선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같은 층에 전용단말기가 1대만 있어도 시각/청각장애인 환자의 편의성이 아주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병원 서비스 담당하고 있는 직원입니다.
전체적인 소개 분위기가 전용단말기 1대만 구입하면 되는 것 같은데, 저희 병원은 응급실은 없지만 건물 5개 층을 사용하고 있어서 규모가 좀 됩니다. 진료과목도 많구요.
안내데스크에 통역 단말기를 위치 시켜서 장애인 환자가 오면 그 단말기를 들고 이동해도 될 것 같기도 하고, 진료과목마다 단말기가 있어야할 것 같기도 하고 어떻게 활용하는게 좋을지 그림이 정확하게 안그려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